본문 바로가기

광해군5

<희망을 만드는 책 소개> 광해군 처절하게 독서하기 2011/11/24 11:33 이시대 광해군처절하게 독서하기 2011/11/24 11:33 이시대 개인적으로 조선사를 읽을 때 관심이 가는 인물은 온갖 악행을 저지르고도 집권기반을 안정화시킨 태종과 그런 뭐랄까 강인한 카리스마보다도 후덕함으로 치세를 한 세종대왕 정도를 꼽을 수 있겠다. 상대적으로 태종이 조금 더 매력적이다;; 여튼 그래도 '심심하게' 정국을 이끌어가지만 않았다면 그런대로 왕조에게서 교훈은 얻어낼 수 있다. 특히나 조선사 읽기의 초보단계로서 제일 크게 놀랐던 점은 위에 말한 태종이나 태조, 세종은 군주시대를 대표할만큼 강한 왕권을 누렸던 반면 거의 대다수는 신권에 눌려 상징적 존재로서의 역할이 강했다는 점이다. 특히나 사림집권기에 왕권이란 생각 이상으로 초라하다. 본격적으로 사림들의 독자 정치가 물이 올라와있던 광해군 시대에.. 2019. 1. 27.
김육과 노블리스 오블리제 역사 속에서 의미있는 인물을 발견하는 것은 언제나 흥미로운 일이다. 잠시 조선 시기에 매우 드물게 나타난 개혁정치가 김육(1580~1658)의 행적을 좆아보자. 김육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조선 초유의 사태를 거치며, 민생이 어떻게 도탄에 빠졌는지 목도할 수 있는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왜란과 호란에 대처해야 했던 집권층 전부가 같은 계기를 가졌지만 김육이 뛰어난 것은 '자신을 걸고' 개혁의 전면에 나섰다는 점일 것이다. 양란이 있었음에도 조선의 지배계층이 전복되지 못하고, 자기반성 없이 사대부의 공리공론이 다시금 재연되면서 민생을 구제할 주도세력이 형성되지 못한 '잔인한' 이때, 김육은 '대동법'라는 최대의 민생규휼 카드를 들고 나왔다. 양란을 거치면서도 공납의 폐해(방납)가 시정되지 않자, 농민.. 2014. 10. 11.
선조와 이승만 임진왜란 때 한장면을 보며 떠오른 생각.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 선봉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결국 궁궐까지 버리고 요동망명을 계획했던 선조는 압록강에서 적의 추격로를 끊기 위해 남아있는 배들을 불살라버렸다. 이 사이 놀랍게도 남아있는 백성들은 비어버린 궁궐을 불태워 집권자들의 비겁함을 성토했다.(정말 놀랍지 않은가!) 조선 수군의 활약으로 전세가 뒵집히자 염치불구 돌아온 선조는, 조선에 남아 전국을 돌며 사실상의 전쟁지도부 역할을 한 광해군을 괴롭힌다. 비슷한 장면은 1950년대에 반복되는데... 이승만은 인민군에 의한 서울 함락이 예상되자 라디오 방송을 통해 "자신은 끝까지 수도 서울을 사수할 것"이란 담화를 남기자 마자 대전으로 피난가는데 여기서 어디선가 많이 본 장면이 다시 나타난다. 바.. 2013. 5. 28.
<희망을 주는 책 소개>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두번째 읽게된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요새는 독서하기가 출퇴근시간에만 용이해서 그런지 읽는데 한달이나 걸려버렸습니다. 만화였으니 망정이지 일반서적이었다면 반년은 걸렸을 것 같은데... 분발 또 분발해서 독서 시간을 늘려야겠다는 고민입니다. 비록 두번째 읽었다지만 저 역시 책의 내용을 온전히 소화한 것은 아닙니다. 개국 상황이라던가 태조와 세종, 연산군, 선조, 광해군, 인조 등과 같은 격변기에는 내용을 술술 들어오는데 신권이 강화되는 시기라던가 인종, 경종같이 약간은 익숙하지 않은 왕들의 내용은 흡착이 떨어집니다. 아는만큼 보인다고, 공부를 계속해야 겠지요. 박시백 화백을 책을 통해 얻는 최대의 성과는 조선시대를 공부한다는 게 그렇게 낯설고 어렵지 않다는 느낌. 근현대사와 더불어 조선사 역시 하나의 긴 .. 2013. 1. 18.
<희망을 주는 책 소개> 광해군 개인적으로 조선사를 읽을 때 관심이 가는 인물은 온갖 악행을 저지르고도 집권기반을 안정화시킨 태종과 그런 뭐랄까 강인한 카리스마보다도 후덕함으로 치세를 한 세종대왕 정도를 꼽을 수 있겠다. 상대적으로 태종이 조금 더 매력적이다;; 여튼 그래도 '심심하게' 정국을 이끌어가지만 않았다면 그런대로 왕조에게서 교훈은 얻어낼 수 있다. 특히나 조선사 읽기의 초보단계로서 제일 크게 놀랐던 점은 위에 말한 태종이나 태조, 세종은 군주시대를 대표할만큼 강한 왕권을 누렸던 반면 거의 대다수는 신권에 눌려 상징적 존재로서의 역할이 강했다는 점이다. 특히나 사림집권기에 왕권이란 생각 이상으로 초라하다. 본격적으로 사림들의 독자 정치가 물이 올라와있던 광해군 시대에 있어 이들 사림들의 행적을 빼버리고 왕권만을 논하는 것은 애.. 2013.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