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1운동2

3.1운동의 국제적 성격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잠들기 전 잠깐 복기해본다. 자고 일어나면 그냥 세상이 바뀌어 있는게 아니듯 3.1운동의 발생 근원과 파급효과에 대해 주억거려본다. 너무 큰 오류가 있지 않은 이상 가볍게 지나치면 좋을 듯 하다. 3.1운동은 우선 그 기획과 파급효과가 국제적 성격을 가졌다는 점을 먼저 떠올려본다. 비교적 조직적 항일운동이 가능했던 중국에서는 이미 임시정부 설립 이전인 1917년부터 예관 신규식을 중심으로 '민족대단결선언'을 통해 독립운동의 대표적 지도기관을 설립할 것을 주장하여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었다. 망명 정부구성이라는 '큰 일'이 논의되자 명망있는 독립운동가들의 상당수가 중국으로 몰려들었고, 1918년 11월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가 발표되자 망명 .. 2019. 3. 2.
<처절하게 독서하기> 친일변절자 33인 친일변절자 33인(친일문제연구, 가람기획, 1995) “친일 청산에 대한 의의를 생각한다.” 1919년 2월 28일 손병희의 집, 한 명, 두 명 조심스럽게 모이기 시작했다. 그들의 얼굴엔 긴장과 두려움, 한편으로는 어서 그 일이 무사히 추진될 수 있도록 마지막 회합을 가질 예정이었다. 그 동안 이 거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얼마나 많은 준비를 하였던가. 최남선은 한 획, 한 획 자신이 기초한 독립선언서를 완료하며 만족스러워했다. 또한 미국 대통령에게 보내는 탄원서, 열국 대표자들에게 보내는 청원서, 조선 총독에게 보내는 청원서 등도 마무리 하였고 완성된 독립선언서는 2월 27일 약 2만1000여 매가 완성되었다. 그리고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에 서명 날인 함으로서 실무적인 절차가 완료되었다. 3월 .. 2013.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