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동환의 view

5.24조치 해제와 남북평화

by 이시대 2014. 12. 30.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을 계기로 중국으로 망명한 운동가들의 논의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상해에 위치한 임시정부는 이미 창조파, 개조파 논쟁 이후로 탄력을 잃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민족유일당' 운동마저 사그러드는 시기에 등장한 호기였다.

당시 망명한 운동가들의 정세관이 '대외정세활용론', 그러니까 이 당시 일본의 대륙침략을 활용해 중국 내륙에서의 전선을 넓고 깊게 가져나간다던가, 훗날에는 미일개전을 염두에 두고 독립을 대비한다는 것은 자체의 무장력에 한계가 있던 운동가 집단의 일반적 인식이었다.

1932년에 가서 등장하는 '대일전선통일동맹'의 결성은 그런 정세를 활용하기 위한 조직적 움직임이었고, 이것이 발전한 것이 35년의 '조선민족혁명당'이다.민족혁명당은 정치, 경제, 교육의 평등을 기초로한 민주공화국 건설/토지의 국유화/대규모기업의 국영화/언론집회출판결사의 자유 등의 17개 조항에 합의한 의열단+한국독립당+신한독립당+조선혁명당+대한독립당의 결사로서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고수파를 제외한 제 정파를 망라한 것이었다.


이 정당 역시 결국은 단체의 주도권 문제(일반적으로 의열단의 독주)로 갈라서게 되어 뼈아픈 기록으로 남게 되는데, 김원봉과 의열단의 핵심들은 훗날 중국공산당 근거지인 화북으로 이동해 해방 이후 연안파라는 이름으로 북한 정권에 참여했던 것을 보면,(김원봉의 경우 경로가 살짝 다르다) 분단이란 개념조차 머리속에 없었던 상황 속에서 이념 차이를 뛰어넘은 연대의 원형을 가지고 있다.

분단을 지양하고, 통일을 지향한다면 상대의 태도변화를 촉구하는 말만 떠들어봤자 아무 소용이 없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조선민족혁명당'의 사례를 언급한 것은 향후 남북의 정권에 전체적이건 부분적이건 참여했던 세력이 과거엔 한집 짓고 일하려 했던 사실을 떠올리고, 앞으로도 같이 일하는 과정 자체가 필요한 것을 이야기 하려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한집을 짓는것이 어려워 함께 만든 것이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이었고, 새로운 공동과제를 제시한 것이 10.4선언의 5항 '서해평화협력지대' 였다면, 지금 정부의 5.24조치는 함께 일할 구체적 현장을 봉쇄한다는 점에서, 통일의 과정에서는 한발 빗겨나있는 조치가 아닐 수 없다.


김양건, 황병서, 최룡해가 왜 왔는지야 알 길이 없지만 기왕 온거 밀담이라도 실컷 나누다 가시라. 손벽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니깐.

'김동환의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일성의 귀국과 조선공작단  (0) 2014.12.30
정치를 바라보는 시각  (0) 2014.12.30
한명회  (0) 2014.10.11
정파갈등의 역사성  (0) 2014.10.11
김육과 노블리스 오블리제  (0) 2014.10.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