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ical view

1961년 5월 16일의 교훈(2)

by 이시대 2019. 1. 27.

1961년 5월 16일의 교훈(2)

김동환의 view 2013/05/20 16:22 이시대






1961년 5월 16일의 교훈(2)


이번에는 또 하나의 민주세력인 ‘혁신세력’에 대한 성찰이다.

박정희와 8기 육사출신들은 민주당의 분열이나 혁신진영의 ‘평화통일’ 공세가 계기가 되어 쿠데타를 준비한 것이 아니라 분열이 가시화되기 이전, 혁신진영이 구체적인 조직으로 발전하기 이전인 1960년 4.19 직후 쿠데타를 모의했음이 여러 기록으로 남아있다. 본질은 권력 장악 ‘욕망’이다. 이 욕망에서 파생된 작전 앞에 대한민국의 국가 체계는 무릎을 꿇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민주당의 입장만 엉거주춤했던 것이 아니라 혁신진영의 당시 활동도 엉거주춤하기는 마찬가지다. 하긴 쿠데타군의 정보도 사전 노출을 그렇게 크게 했으니 허술한 것은 여기저기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결국은 한끝 차이의 판단이 상황을 가로질렀다고 볼 수 있다.

48년 정부수립 전후로 좌파진영의 조직은 전부 탄압을 받았다. 남로당, 사로당, 인민당, 신민당, 민족주의민족전선은 공개활동이 불가능했고(하지도 않았고), 오로지 우파적 광기만이 ‘건국’의 이름으로 사회를 장악해나갔다. 다만 조직이 사라졌다고 사람이 사라진 것은 아닐터, 1960년 4.19라는 공간은 이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그렇게 ‘혁신진영’이라고 다시 등장한 이들은 국가이념에서 반공국가를 평화통일국가로, 경제체제에서는 사민주의 요소를 가미한 주장으로(이건 공부 좀 더해봐야겠다) 결사를 형성, 하나로 뭉치는가 싶더니 주도권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는 문제로 다시 사회대중당, 한국사회당, 통일사회당으로 갈라지게 되고, 4.19 이후 선거에서 민주당에 대체되거나 상당한 수준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참패를 당하게 된다. 단순히 이념상의 요소로 대중들에게 거부당한 것이 아니라, 중앙이 갈라져있어 지역조직을 통일적으로 지도하지 못한 까닭이 크다고 한 평가도 여럿이다.

무튼, 이 혁신진영의 일부는 쿠데타군에 대한 착각으로(윤보선처럼?) 쿠데타를 지지하기도 하지만 결국 큰 틀에서 이 흐름은 ‘조봉암과 진보당’까지 이어져 제법 큰 영향력을 갖게 된다. 딱 거기까지만.

대학 3학년 문득 어떤 수업에서 당시 혁신세력이 4.19 이후 선거에 대거 당선되었더라면 사회는 크게 달라졌을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는데, 지금 생각하면 얼굴이 화끈거린다. 나중에 여러 조건을 파악 해보건데, 그렇게 될 수도 없었을 뿐더러, 4.19라는 대중의 열기가 있는 그대로 실제의 힘이 될 것이라 ‘판단했을 것 같은’ 그때 그 사람들. 역시 5.16을 생각할 때 빼놓을 수 없다.


'historical 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영익과 이승만 살리기  (0) 2019.01.29
한국판 페레스트로이카  (0) 2019.01.27
1987년의 6월과 2008년의 6월  (0) 2019.01.27
예관 신규식 선생  (0) 2019.01.27
참군인 김오랑 중령  (0) 2019.01.27

댓글